안녕하세요 오늘은 어금니 지르코니아 알아보고 있습니다. 어금니에 이상이 생기면 여러가지 치료를 해 주게 되는데요, 그 중에서도 충치가 가장 흔할 거예요. 충치의 정도에 따라서 충치 치료가 다르게 들어가게 되는데, 치아 표면에만 생기는 초기 충치의 경우, 우식 부위를 살짝 갈아내주고 이 부위를 치아 색상의 레진으로 때워주면 감쪽같이 수복이 되는 거예요. 이런 경우는 초기단계이지만, 이보다 더 충치가 심한 경우들은 어떻게 치료할까요.
우선 충치가 좀 더 깊고 범위가 넓어지면 레진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요. 레진이 강도가 가주 강한 재료는 아니고, 또 레진으로 넓은 면적을 때울 경우 치아색상을 맞춰 두어도 얼룩덜룩해 보일 수 있고, 처음에는 아주 예쁘게 균일하게 만들어졌다고 해도 레진과 자연치아는 소재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나중에 변색 등으로 인해 레진치료한 부분이 티가 날 수 있습니다. 충치범위가 좀 더 넓은 경우는 온레이 혹은 인레이 방식으로 수복해주고 있습니다.
인레이 혹은 온레이 방식이라 함은 직접적으로 때워주는 것이 아닌, 치아 모양과 꼭 맞는 본을 만들어서 치아에 끼워서 원래 치아의 모양과 기능을 회복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쓰이는 재료도 다양한데요, 금이나 레진, 세라믹 등으로 만들수 있습니다. 레진치료가 하루 안에 끝나는 반면, 인레이나 온레이는 본을 떠서 보철물을 만드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을 뜨는데 한번, 일주일정도 후에 보철물을 끼우는데 또 한번 내원을 해 주셔야 합니다. 그 동안에는 임시 재료로 덮어 놓기 때문에 그 부분을 조심스럽게 사용해주시기를 권장드리고 있어요.
충치가 이 단계를 벗어나서, 안쪽의 신경까지 손상이 된 경우라면, 신경치료 후에 어금니 지르코니아 등의 크라운 치료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겉에서 조금씩 보충해주는 레진, 인레이, 온레이와는 다르게, 어금니 지르코니아 크라운치료라고 하는 것은 아에 치아 겉껍질을 한겹 만들어서 씌우는 거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거예요. 마치 모자나 투구처럼 한겹 씌워주어서 안쪽 치아를 보호하게 되는데, 사실 크라운을 해준 치아도 오래 지나면 틈으로 인해 세균이나 치석들이 침투해서 속은 손상되어 있을 가능성도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쨌거나 신경치료를 해 준다는 것은 아직 뿌리가 온전히 잇몸뼈에 박혀 있는 치아를 최대한 살려서 어금니 지르코니아 등을 씌워서 오랫동안 내 치아를 쓰겠다는 것인데요, 치아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어서 주변 어금니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면 이는 발치하고 임플란트를 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맞다고 할 수 있어요. 크라운을 씌워서라도 자연치아를 쓸 수 있는 치아이면, 어떤 크라운을 씌울지가 궁금하실 것인데요, 크라운에도 어금니 지르코니아를 비롯 여러가지 재료가 있습니다.
어금니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인조 다이아라고 부를 정도로 강도가 아주 튼튼한데요, 그래서 강한 저작력을 오랫동안 받게 되는 어금니부위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어금니쪽에 많이 했다면, 요즈음에는 앞니에도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요, 단점으로 인식되고 있던 인조적인 색상을 요즘에 많이 개선해서 투명도도 올라가고 좀더 진자 치아처럼 보이게 좋아졌다고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앞니에도 많이 쓰지만, 지르코니아는 어금니에 쓰기에도 적합하고 최근에도 많이 쓰이는 재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금이나 올세라믹 크라운도 가능하니, 비용 및 환자분의 상황을 고려해서 적절한 재료 선택하시길 바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