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금니신경치료 진작 해줘야 했을 것을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금니신경치료 알아보고 있습니다. 어금니신경치료 라고 하는 것은 어금니의 손상이 심각해서 치수신경까지 상했을때 시행해 주는 것인데요, 사실상 자연치아로서의 어금니를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단계로서, 어금니신경치료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상당히 어금니의 상태가 좋지 않은, 충치단계가 상당히 많이 진행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어금니신경치료 할 상황이라면 그 전단계가 있었을 것인데, 어금니신경치료 전의 충치 진행상황을 한번 살펴볼 거예요. 먼저 충치라는 것은 치아 맨 바깥 표면의 법랑질이라는 곳을 먼저 뚫어야 하는 것인데, 법랑질 혹은 애나멜질 이라고 불리우는 이 곳은 우리의 인체중에서 가장 딱딱한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충치가 생겼다고 해도,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충치의 단계처럼 처음부터 검게 먹어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치아 표면에 흰 반점처럼 생겨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치아표면에 흰 점이 생겼다고 해도, 그것이 충치의 시작인지 아닌지 보통은 눈치채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어쨌거나 치아 표면의충치 단계가 지나서 충치가 법랑질을 뚫게 되는데 까지는 수 개월이 소요되는데, 그 단계가 지나면 법랑질 안쪽에 상아질을 부터는 재질이 훨씬 무르기 때문에 충치가 빠르게 깊어질 수 있습니다.
이때 상아질에서 충치가 더 깊어지게 되면 치아 맨 가운데 안쪽의 치수신경까지 건드리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신경이 손상되게 되어서 지속적으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보통 이 단계에서 치과에 오시는 분들이 많은데, 손상된 신경이 있다면 어금니신경치료 통하여서 신경을 끊어주어야지 제반 증상을 없앨 수가 있습니다.
어금니신경치료 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자연치아에 손상이 가고, 일정부분 삭제가 되게 되는데, 이를 가만히 두게 되면 2차 감염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치아가 깨지기 쉬운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치아가 깨져버리거나 2차감염이 이루어지면 재신경치료를 하거나, 치아를 살리기 어려운 상횡이 되어서 임플란트 까지 생각하셔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해 주게 되는 것이 바로 크라운이라고 할 수 있어요. 크라운은 신경치료 한 치아에 한겹 갑옷을 씌워서 보호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 재료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크라운 재료로는 금, 세라믹, 지르코니아 등등이 있는데 각각 가격도 다르고 장단점도 다르다고 할 수 있어요.
먼저 금 같은 경우는 오래 전부터 가장 많이 써 오던 재료로, 인체 친화적이며, 안정성이 검증이 되어 있는 재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치아색과너무 달라서 심미성은 상당히 떨어지는 것이 단점이라 할 수 있겠고, 올세라믹 같은 경우는 치아 색상을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있고, 지르코니아는 강한 강도를 자랑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특징에 맞게 자신의 상황에 잘 맞는 재료로 처치하실 수 있습니다. 어떤 재료를 쓰면 좋을지는 치과의사와의 상담 하에 정하실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