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는 아무리 현대 의학 기술이 발달되어도 자연적인 인간의 신체 중의 일부를 완벽히 대체할 수 있는 치료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는데요. 치아 역시도 치아의 기능을 대부분 대체하는 임플란트의 한계성도 분명히 있고 자연치아 이상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대수명이 늘어날수록 영구치를 건강하게 보존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고 있습니다
치아 보존치료는 이름 그대로 치아를 뽑지 않고 되도록 보존하는 쪽에 초점을 둔 치료 방법을 의미하며 치아 손상은 살아가면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치아 보존치료 방법 역시도 다양합니다



치아 보존치료 대표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치아 손상이 시작되는 대표적 원인과 그 시작점은 충치 혹은 치아의 파절이며 충치나 치아 파절의 치료 방법은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치료가 가능한 정도의 경미한 손상의 경우에는 레진 치료를 진행하며 레진으로 치료가 힘든 좀더 깊고 넓어진 손상은 인레이를 통해서 치료하고 있습니다
레진 치료의 경우 충전 치료로도 볼 수 있는데 충치나 치아 파절이 생긴 부위의 치아를 잘 정리하고 레진으로 해당 부위의 빈 공간을 채워서 수복하는 치료 방식이며 인레이 치료의 경우 본을 떠서 치아 손상 부위에 접착하는 방식의 치료 방법입니다
치아 보존치료에 있어서 레진과 인레이 치료가 치아의 비교적 작은 손상을 치료하는 방식이라면 치아의 신경(치수)의 손상 혹은 감염이 되었을 때는 신경조직과 혈관을 모두 깔끔하게 제거한 후에 치아 내부에 충전재를 넣고 치아 전체를 크라운으로 덮어 씌우는 방법이 흔히 신경치료라고 불리는 치아 보존치료 입니다


신경치료를 하는 시점이 치아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는 시점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치아의 뿌리를 보존하면서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 중요한 시점이기도 한데요
치아 보존치료에 있어서 치아 수명을 좌우하는 것은 치아 뿌리의 손상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고 신경조직의 역할이 치아에 영양과 수분 등을 조절한다는 점에서는 신경조직의 제거 시 수명이 크게 저하되는 시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치아 뿌리가 손상되면 발치로 이어지는 것이고 신경조직의 손상은 수명 저하가 크긴 하지만 치아 뿌리 손상으로 이어지기 전에 치아 보존치료가 가능한 중요한 시점이라는 점에서는 신경치료를 해야할 상황에서는 즉시 치료를 잘 받는 것이 중요하겠죠


신경치료 후에도 크라운을 잘 유지하시는 분들도 있는 반면에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씌웠지만 몇년 못가서 결국 발치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는데요. 신경치료 과정에서 치아 수명을 좀더 보존하는 방법은 잔존하는 치아를 되도록 많이 보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같은 신경치료를 하더라도 치아 뿌리 쪽의 치아 부분이 좀더 보존된 경우에 수명 유지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도 충치나 치아 균열, 파절이 발생되었다고 가정할 때 치아 손상이 더 깊어지기 전에 신경치료를 하는 것이 좋으며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씌운 후에도 보철물의 수명, 교체 주기를 고려하여 정기적으로 검진하면서 크라운 내부에 2차 충치의 우려가 있다면 재신경치료 혹은 크라운의 교체, 재치료를 통해서 치아 수명을 되도록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겠습니다
현대 치의학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으며 기대 수명 역시도 늘어남에 따라서 임플란트를 하게 되더라도 치아 보존치료를 먼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겠고 치아 보존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치과의사의 실력도 중요하지만 치료 시점도 중요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꼭 검진과 스케일링을 실천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