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충치 관리를 잘하시는 분들도 나이가 들면서 치아가 마모되고 약해지면서 치아 파절을 경험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치아의 지속적인 손상과 치료는 결국 신경치료로 이어질 수도 있는데요
치과에서 가장 흔하게 받게 되는 치과 보철치료에 대해서는 살면서 꼭 한번쯤은 그 원리와 관리 방법에 대해 잘 이해하시는 것이 좋으며 한번 알아두면 평생 도움이 되기 때문에 치아에 발생된 부득이한 손상과 보철치료에 대해서 기본적 원리에 대해 잘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치과 보철치료의 순서는 보통 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치료법이 달라지는데 치아 손상의 정도에 따라 간단하게는 레진부터 인레이, 크라운의 순서로 치료가 진행되며 레진과 인레이는 흔히 때우는 치료로 알려져 있다면 크라운의 경우에는 치아를 덮어 씌우는 방식으로 치료가 진행되기 때문에 치아의 수명으로 따지면 치과 크라운 치료 까지 이어지면 치아 수명이 많이 줄어 들었다고 인식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치과 크라운 치료의 경우 흔히 신경치료 후에 크라운을 씌우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치아 손상의 정도에 따라서는 신경치료 없이 크라운을 씌워서 치아 손상이 더는 진행되지 않도록 치아를 보호하는 목적으로서 치료가 진행되기도 하기 때문에 크라운을 씌우게 되면 치아 내부가 보이지 않고 오래된 크라운의 경우에는 교체 및 재치료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도 필요하다면 적기에 교체하는 것이 자연치아를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앞서 치과 크라운 치료의 경우 흔히 신경치료 후에 크라운을 씌우는 경우가 많다보니 신경치료를 이미 한 치아는 내부에 2차 충치가 발생되어도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철물을 씌운 후에는 보철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끈적이거나 딱딱한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크라운 치료의 수명은 10년 정도를 보고 있는데 물론 그 이상으로 수명 유지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철물의 접착제가 녹아서 그 틈으로 2차 충치가 발생되는 사례가 많고 잇몸이 내려앉거나 자연치아의 마모로 인해 2차 충치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오래된 보철물은 주기적으로 검진하여 교체가 필요하다면 의사와 잘 상의하여 재치료를 받는 것도 중요합니다
치과 크라운 치료의 종류는 크라운의 재료 선택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는데 특히 앞니에 크라운을 씌우는 경우에는 앞니라는 특성상 심미적인 재료가 주로 사용되며 금속 재질을 사용하긴 어렵기 때문에 올세라믹 크라운과 같이 심미적인 보철물이 주로 활용되며 금과 같은 보철물은 깨질 우려가 없지만 세라믹의 경우 깨질 우려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보철 치료 후 보철물을 오래 잘 관리하는 것이 곧 자연치아의 보존과도 상관 관계가 높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정리하면 크라운을 씌웠다고 해서 치아가 완벽히 보호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 신경치료를 한 치아라면 더욱 치아에서 통증을 느끼지 못할 뿐이지 치아에 가중되는 압력은 그대로 치아가 받기 때문에 보철물 치료를 한 치아에 무리하게 압력이 더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보철물의 탈락에도 주의하여 끈적이는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이처럼 보철물의 치료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면 치료를 받는데도 도움이 되겠고 치료 이후에 보철물 관리가 잘되어야 남아 있는 자연치아의 보존에도 중요하다는 명심하시고 현재 치아가 많이 아프고 신경치료가 필요하다면 치료 후 잔존하는 치아가 많을수록 치아 수명 유지에도 유리하다는 점을 참고하셔서 꼭 필요한 신경치료라면 제때 받는 것이 치아 수명을 보존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불편한 증상이 있다면 늦지 않게 치과 방문을 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