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치아 뼈이식 알아보고 있어요. 우리가 임플란트를 하러 치과에 가게 되면, 임플란트를 바로 심는 경우가 있지만 뼈가 약하면 치아 뼈이식 해야 할 수도 있어요. 치아 뼈이식 이라고 하는 것은, (여기서 말하는 뼈는 치조골), 사람의 치아에는 뿌리를 잡아주는 뼈가 있는데, 밑에는 턱뼈라고 볼 수 있고, 뿌리를 감싸는 뼈는 치조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치조골을 뿌리가 단단하게 잡아주어야 임플란트를 잘 심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흔히 풍치라고 불리우는 치주질환에 걸려서 잇몸은 물론 잇몸뼈의 치조골까지 다 망가지게 되면 뼈가 내려가게 되고, 뼈가 뿌리를 못잡아주니까 치아가 흔들리고 심하면 음식물 씹다가 빠지기도 하고, 그렇게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는 뽑고 나서 새로운 뿌리인 임플란트를 식립하게 될 때, 이렇게 뼈가 약한 곳에다 심어버리면 임플란트가 흔들리고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뼈를 딴딴하게 보강해주는 거예요.
예를 들면 충치가 생겼거나 부러져서 빠진 치아는 뼈가 자체적으로 재생을 할 수 있는데, 심하게 망가져버린 치아는 발치해서 넣는다고 해도 뼈가 원래 위치대로 재생하지 않기 때문에 그때는 인위적으로 치아 뼈이식 시행하게 되는 거라고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치아 뼈이식 할때 어떤 뼈를 쓰냐 하면 보통 자기 뼈를 다른 부위에서 채취해서 넣는 경우도 있지만 자기 뼈의 장점은 뼈가 잘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점은 아무래도 자기 뼈이기 때문에 다른 데서 채취할 수 있는 양에 한계가 잇고 두번쨰로 다른데서 뼈를 잘라내기 때문에 통증이발생할 수 있어요.
치아 뼈이식 하게 되면 아무래도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보다는 시일이 좀 소요되게 되고, 한가지 과정을 더 거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어요. 치아를 상실한 후에 오랫동안 놔두게 되면 잇몸뼈가 녹아버려서 뼈이식 과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치아를 상실했다면 지체없이 병원에 들르셔서 조치를 취하시는 것이 좋을 거예요.
그래서 대량으로 치아 뼈이식 하게 될 때에는 자기 뼈는 좀 힘들고, 뼈이식을 많이 해야 할 때는 인공뼈를 사용하게 되는 거예요. 인공뼈는 가루로 되어있어요. 일단 가루 뼈가 나오게 되면 부족한 부분에 채워넣게 되는데, 가루를 채워 넣게 되면 장점은 채우기 쉬운데 단점은 가루가 자꾸 흩어지고 문제가 생길수 있어요. 여기에는 적당한 용액을 넣어서 덩어리지게 해서 뼈처럼 쓸 수 있습니다.